자연실업률
1968년 프리드먼(M. Friedman)이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경제의 균형상태에서 상품시 장과 노동시장 등의 구조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실업률을 말한다. 이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마찰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실업률로서 영(0)의 실업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 라 인플레이션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가장 낮은 수준의 실업률을 의미한다.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는 통화론자와 케인즈학파간 오랜 논쟁거리 중의 하나로, 통화론자인 프리드먼은 예상치 못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실업률이 하락할 수는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노동자들이 인플레이션을 인지하게 되어 임금상승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만 유발할 뿐 실업률은 자연실업률 수준으로 수렴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케인즈학파 학자들은 낮은 수준의 실업률을 유지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높은 수준의 물가상승률을 초래하는데 그치지 않고 물가상승률을 가속시 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이들이 제시한 NAIRU(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비가속적인플레이션실업률)는 인플레이션이 상승하 거나 하락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실업률 수준을 지칭하는 점에서 사실상 프리드먼의 자연실업률과 같은 개념이다.
자유무역협정(FTA)
협정을 체결한 국가 간에 상품이나 서비스 교역에 대한 관세 및 무역장벽을 철폐함으 로써 무역특혜를 서로 부여하는 협정을 말한다.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은 그동안 유럽연합(EU)이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등과 같이 인접국 가나 일정한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흔히 지역무역협정(RTA; Regional Trade Agreement)이라고도 불린다. 자유무역협정은 체결국간 경제통합의 심화정도에 따라 회원국간 관세를 포함하여 각종 무역제한조치를 철폐하는 자유무역협정, 회원국간 역내무역 자유화 외에도 역외국에 대해 관세에 대한 공동보조를 취하는 관세동맹, 회원국 간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공동시장, 회원국들이 독립된 경제정책을 철회하고 단일경제체제하에서 모든 경제정책을 통합 운영하는 완전경제통 합 등의 4단계로 구분된다. 자유무역협정은 국가 간 합의된 내용에 대해 무역장벽을 완화하되 제삼국에 대해서 최혜국대우 부여를 원칙으로 하는 세계무역기구(WTO)의 다자간무역협정과는 차이가 있다. 한편 자유무역협정은 전통적으로 상품분야의 무역자 유화 또는 관세인하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그 적용 범위가 서비스, 투자, 지적 재산권, 정부조달, 정책 등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2022년 7월말 현재 우리나 라는 58개국과 18건의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였다.
자유재
희소성이 높지 않고 아무런 대가를 치르지 않아도 무상으로 얻을 수 있는 재화를 말한다. 이는 희소성을 가지며 경제적 거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경제재(economic goods)의 반대 개념이다. 자유재(free goods)는 대가를 치르지 않고서도 얼마든지 원하 는 만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경제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희소성의 원칙도 적용되지 않는다. 현실세계에서 자유재는 매우 드물다. 공기, 물, 햇빛 등이 전통적으로 자유재로 고려되었으나 양질의 생수를 높은 비용으로 구매하고, 맑은 공기를 마시기 위하여 휴양림 을 찾아가는 등 기존에 자유재로 고려되던 재화들이 상황 변화에 따라 경제재로 변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재화라고 하면 경제재를 의미하며 통상 경제학은 경제재를 분석대상으 로 한다.
natural unemployment rate
It is a concept first proposed by M. Friedman in 1968, and refers to the unemployment rate determined by structural factors such as the commodity market and the labor market in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economy. This is an unemployment rate determined by structural frictional factors in the labor market, which does not mean the zero unemployment rate, but the lowest level of unemployment at which inflation can remain stable.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inflation is one of the long-standing debates between monetaryists and Keynesian schools, and Friedman, a monetaryist, argued that unemployment may fall temporarily in the event of unexpected inflation, but in the long run, workers become aware of inflation and demand wage increases, which only causes inflation in the long run, and the unemployment rate converges to the level of natural unemployment. On the other hand, Keynesian scholars emphasized that policy efforts to maintain a low level of unemployment could not only lead to a high level of inflation, but also accelerate inflation. In this regard, their proposed 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NAIRU) is actually the same concept as Friedman's natural unemployment rate in that it refers to the level of unemployment that can remain stable without inflation rising or falling.
Free Trade Agreement (FTA)
It refers to an agreement that grants trade preferences to each other by eliminating tariffs and trade barriers on the trade of goods or services between countries that have signed an agreement.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the Regional Trade Agreement (RTA) because it has been centered around a certain region or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the European Union (EU) or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FTA). The Free Trade Agreement is divided into four stages: a free trade agreement that removes various trade restrictions, including tariffs between member states, a customs union that provides joint assistance to tariffs on foreign countries, a common market that allows free movement of production factors such as labor and capital between member states, and a full economic integration in which member states withdraw independent economic policies and operate all economic policies under a single economic system. The free trade agreement is different from the World Trade Organization's multilateral trade agreement, which eases trade barriers to agreements between countries but gives treatment to third countries as the principle. Meanwhile, free trade agreements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trade liberalization or tariff cuts in the commodity sector, but in recent years, their application has expanded to services, investment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government procurement, and policies. As of the end of July 2022, Korea has signed 18 free trade agreements with 58 countries.
free goods
It refers to goods that are not scarce and can be obtained free of charge without paying any price. This is the opposite concept of economic goods that have scarcity and can be obtained through economic transactions. Free goods do not cause economic problems because they can be obtained as much as they want without paying a price, and the principle of scarcity does not apply. Free goods are very rare in the real world. Air, water, and sunlight have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as free goods, but goods previously considered as free goods, such as purchasing high-quality bottled water at a high cost and visiting recreational forests to breathe clean air, turn into economic goods as the situation changes. In general, when it comes to goods, it means economic goods, and usually economics analyzes economic goods.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재경제활동인구,장기금융시장(자본시장),장기침체 (0) | 2023.10.14 |
---|---|
작업증명,잠상,잠재GDP성장률 (2) | 2023.10.14 |
자산건전성 분류,자산유동화,자연독점 (0) | 2023.10.13 |
자본이동자유화규약,자본적정성,자본적지출 (0) | 2023.10.13 |
자본거래자유화,자본생산성,자본시장통합법 (2) | 2023.10.12 |